변수, 표현식, 문장
상수(Constants)
상수는 값이 변하지 않습니다.
print(123) #123으로 출력, 123이 상수
print(98.6) #98.6으로 출력, 98.6이 상수
print('Hello World') #Hello World로 출력, Hello World가 상수
예약어(Reserved Words)
파이썬이 정한 의미로만 쓰이는 특별한 단어입니다. 예를 들어, 파이썬이 if라는 예약어를 만나게 되면 조건문을 실행하게 됩니다.
변수(Variables)
우리는 메모리에 사람이 이해 할 수 있는 변수명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x=12.2
print(x) #12.2가 출력됩니다.
y=14
x=100
print(x) #100이 출력됩니다.
- x, y : 메모리에 할당된 변수의 이름
- = : 할당자이며 해당 변수에 특정 값을 넣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화살표로 생각하세요.)
- 12.2, 14 : 값이며 해당 변수에 우리가 넣은 값입니다.
변수로 선언한 뒤 해당 변수에 넣을 수 있는 값은 바꿀 수 있습니다.
변수의 이름을 정하는 규칙
1. 반드시 문자 또는 underscore(_)로 시작합니다. (숫자로 시작할 수 없습니다.)
2. 문자와 숫자 underscore(_)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3. 읽는 사람이 읽기 편하도록 변수명을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ase1 - Worst
xiojqwerlkj = 35.0
dpemdnlem = 12.50
rlaxotjs = xiojqwerlkj * dpemdnlem
print(rlaxotjs)
#Case2 - Bad
a = 35.0
b = 12.50
c = a * b
print(c)
#Case3 - Good
hours = 35.0
rate = 12.50
pay = hours * rate
print(pay)
파이썬은 3가지 케이스를 모두 동일하게 인지하지만 코드를 읽는 사람 입장에서는 세 번째 케이스가 가장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할당문 (Assignment Statements)
대입문은 오른쪽 표현의 결과를 왼쪽의 변수에 저장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x=0.6
x=3.9*x*(1-x)
print(x) #0.936 출력됨.
#3.9*0.6*(1-0.6)
x=3.9*x*(1-x)
print(x) #0.2336256 출력됨.
#3.9*0.936*(1-0.936)
수리 연산자 표현
컴퓨터 키보드에 있는 수학 기호들의 부족으로 우리는 제한적인 몇가지의 수리 연산자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연산자의 순서
일반적인 연산잔들을 수행하게 되는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괄호 -> 거듭 제곱 -> 곱셈, 나눗셈 -> 덧셈, 뺄셈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위와 같은 순서로 진행하게 됩니다.
타입이란?
파이썬에서는 여러가지 데이터 타입들이 있습니다. 파이썬은 영리하게도 우리가 연산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동일한 연산자를 사용하더라도 다른 결과를 가져 옵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 연산자를 사용하더라도 정수, 부동 소수점 수 타입의 변수에서는 덧셈으로 작용하고 문자열 타입의 변수에서는 문자열을 이어주는 기능을 하게 됩니다.
ddd=1+4
print(ddd) #5로 출력됩니다.
eee='hello' + 'there'
print(eee) #hello there로 출력됩니다.
eee=eee+1 #문자열 타입과 정수형 타입을 더하려 했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합니다.
만약 우리가 타입이 다른 변수에 대해 연산을 하게 되면 파이썬은 오류 메시지를 띄워 자신에게 정확히 알려달라고 요청합니다. 파이썬은 타입에 민감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 명심해야 합니다.
값이나 변수의 타입을 알고 싶을 때 우리는 type()을 이용해 해당 객체의 타입을 알 수 있습니다.
eee='hello' + 'world'
print(eee) #hello world
type(eee) #class'str' 문자열 클래스 타입
type(1) #정수 클래스 타입
여러가지 숫자 타입
주요한 숫자 타입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int(정수) 타입과 float (부동 소수점 수) 타입입니다. -1, 0, 1과 같은 정수들은 int 타입이며, -1.5, 0.0, 1.5 같은 부동 소수점 수들은 float 타입입니다.
타입 변환
파이썬에는 타입을 변호나할 수 있는 함수가 내재되어 있기에 간단한 방법으로 타입을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시키고 싶은 타입 형식으로 감싸주면 타입이 바뀌게 됩니다.
예를 들어, i 라는 변수를 정수 타입으로 선언했다고 합시다.
만약 i 변수를 부동 소수점 수 타입으로 바꾸어 저장하고 싶다면 f = float(i)로 적어주면 됩니다.
i=42
type(i)#int 타입
f=float(i) #float 타입으로 변환
print(f)#42.0으로 출력
type(f)#flaot 타입
sval='123'
type(sval)#str 타입
print(sval + 1) #문자열과 int를 더한 것이므로 오류
ival=int(sval)
type(ival)#int 타입
print(ival+1)#int 타입 간 연산이기 때문에 오류 발생하지 않는다. 124로 출력됨
입력
print()를 통해 출력을 했다면 input()을 이용해 입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nam = input('Who are you?')#Who are you? 라고 물어볼 것이고 사용자는 입력값을 넣습니다.
print('Welcome', nam)#해당 입력값을 nam이라는 변수에 할당한 다음 Welcome이라는 문자열과 함께 출력합니다.
주석
컴퓨터에게 명령을 내리는 파이썬 코드 이외에 사람이 알아보도록 적는 것을 주석이라고 합니다.
위에 보이는 것처럼 # 기호를 사용하게 되면 주석을 달 수 있습니다.
컴퓨터는 주석을 무시하고 지나가기 때문에, 실행시키고 싶은 코드에 주석 표시 (#) 를 달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연산자의 종류와 순서
Programiz: Learn to Code for Free
www.programiz.com
실습 문제
근로시간과 시급을 입력하면 급여를 계산해주는 프로그램 만들기
xh=input("Enter Hours: ")
xr=input("Enter Rate: ")
xp = float(xh) * float(xr)
print ("Pay",xp)
'마케팅 > 데이터분석(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python) 모두를 위한 프로그래밍 : 파이썬 챕터 6 / 문자열 (0) | 2021.11.16 |
---|---|
(파이썬/python) 모두를 위한 프로그래밍 : 파이썬 챕터 5 / 루프 (0) | 2021.10.18 |
(파이썬/python) 모두를 위한 프로그래밍 : 파이썬 챕터 4 / 함수 (0) | 2021.10.18 |
(파이썬/python) 모두를 위한 프로그래밍 : 파이썬 챕터 3 / 조건문 (0) | 2021.10.14 |
(파이썬/python) 모두를 위한 프로그래밍 : 파이썬 챕터 1 / 파이썬? (0) | 2021.10.12 |